아시안 게임 스쿼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안 게임 스쿼시는 아시안 게임의 정식 종목으로, 1998년 방콕 아시안 게임에서 처음 채택되었다. 남자 단식, 여자 단식, 남자 단체, 여자 단체, 혼합 복식 종목이 있으며,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까지 총 7번의 대회가 개최되었다. 말레이시아가 총 9개의 금메달을 획득하며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고, 파키스탄, 홍콩, 인도 등이 뒤를 이었다. 대한민국은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에서 이해경이 여자 단식 동메달을 획득하며 첫 메달을 기록했으며, 이후 2010년, 2014년, 2018년 대회에서 추가 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안 게임 스쿼시 - 2018년 아시안 게임 스쿼시
2018년 아시안 게임 스쿼시는 자카르타에서 남자 단식, 남자 단체, 여자 단식, 여자 단체 종목으로 진행되었고, 홍콩과 말레이시아가 공동 1위를 차지했으며, 대한민국은 여자 단식 동메달, 남자 단체 금메달을 획득했다. - 아시안 게임 스쿼시 - 2002년 아시안 게임 스쿼시
2002년 아시안 게임 스쿼시는 대한민국 양산시에서 개최되었으며, 남자 단식 금메달은 말레이시아의 옹벵희, 여자 단식 금메달은 홍콩의 레베카 치우가 획득했다.
아시안 게임 스쿼시 | |
---|---|
스쿼시 (아시안 게임) | |
정보 | |
종목 | 스쿼시 |
약칭 | (없음) |
모토 | (없음) |
창설 | 1998년 방콕 |
주기 | 4년 |
최근 대회 | 2022년 자카르타 |
다음 대회 | 2026년 나고야시 |
목적 | (없음) |
본부 | (없음) |
웹사이트 | (없음) |
비고 | (없음) |
상세 정보 | |
경기 단체 |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
단체 약자 | OCA |
세부 종목 | 4 |
남자 종목 | 2 |
여자 종목 | 2 |
아시안 게임 | (없음) |
최근 대회 | (없음) |
2. 역대 대회
경기 | 연도 | 개최 도시 | 최우수 국가 |
---|---|---|---|
13회 | 1998 | 방콕, 태국 | |
14회 | 2002 | 부산, 대한민국 | |
15회 | 2006 | 도하, 카타르 | |
16회 | 2010 | 광저우, 중국 | |
17회 | 2014 | 인천, 대한민국 | |
18회 | 2018 | 자카르타–팔렘방, 인도네시아 | |
19회 | 2022 | 항저우, 중국 |
1998년 아시안 게임에서 스쿼시가 처음으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남자 단식에서는 파키스탄의 자라크 자한 칸이 암자드 칸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고, 홍콩의 압둘 파힘 칸과 말레이시아의 케네스 로우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여자 단식에서는 말레이시아의 니콜 데이비드가 홍콩의 레베카 치우를 이기고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싱가포르의 델라 리와 마 리 리안이 동메달을 땄다.
2002년 아시안 게임은 대한민국 부산에서 개최되었다. 남자 단식에서는 말레이시아의 옹 벵 히가 금메달을, 파키스탄의 만수르 자만이 은메달을 획득했다. 말레이시아의 모흐드 아즐란 이스칸다르와 파키스탄의 샤히드 자만이 동메달을 차지했다. 여자 단식에서는 홍콩의 레베카 치우가 금메달, 말레이시아의 니콜 데이비드가 은메달을 획득했다. 말레이시아의 샤론 위와 대한민국의 이해경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2006년 도하 아시안 게임 스쿼시 종목에서는 남자 단식과 여자 단식 경기가 개최되었다. 남자 단식에서는 말레이시아의 옹 벵 히가 금메달, 모흐드 아즐란 이스칸다르가 은메달을 획득했고, 인도의 사우라브 고샬과 파키스탄의 만수르 자만이 동메달을 차지했다. 여자 단식에서는 말레이시아의 니콜 데이비드가 금메달, 홍콩의 레베카 치우가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말레이시아의 샤론 위와 홍콩의 막 푸이 힌이 동메달을 차지했다.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 스쿼시 종목에서는 남자 단식, 여자 단식, 남자 단체, 여자 단체 경기가 열렸다. 남자 단식에서는 모흐드 아즐란 이스칸다르ms가 금메달, 아미르 아틀라스 칸영어이 은메달을 땄으며, 사우라브 고샬영어과 옹 벵 히ms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여자 단식에서는 니콜 데이비드ms가 금메달, 오윙지중국어가 은메달을 획득했고, 류 웨이원ms과 천하오링중국어이 동메달을 땄다. 남자 단체전에서는 파키스탄이 금메달을, 말레이시아가 은메달, 인도와 홍콩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여자 단체전에서는 홍콩이 금메달, 말레이시아가 은메달, 인도와 대한민국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4년 아시안 게임 스쿼시 경기는 대한민국 인천에서 개최되었다. 남자 단식에서는 쿠웨이트의 압둘라 알-무자옌이 금메달을 획득하였고, 인도의 사우라브 고샬이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동메달은 말레이시아의 옹벵히와 홍콩의 맥스 리에게 돌아갔다. 여자 단식에서는 말레이시아의 니콜 데이비드가 금메달을, 말레이시아의 류웨이원이 은메달을 차지했다. 인도의 디피카 팔리칼과 홍콩의 오윙지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남자 단체전에서는 인도가 금메달, 말레이시아가 은메달, 쿠웨이트와 홍콩이 동메달을 획득했고, 여자 단체전에서는 말레이시아가 금메달, 인도가 은메달, 홍콩과 대한민국이 동메달을 차지했다.
2018년 아시안 게임 스쿼시는 남자 단식, 여자 단식, 남자 단체, 여자 단체 세부 종목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남자 단식에서는 홍콩의 오천밍이 홍콩의 맥스 리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인도의 사우라브 고샬과 말레이시아의 모흐드 나피즈완 아드난이 동메달을 차지했다. 여자 단식에서는 말레이시아의 니콜 데이비드가 말레이시아의 시바상가리 수브라마니암을 이기고 금메달을 획득했고, 인도의 디피카 팔리칼과 조쉬나 치납파가 동메달을 땄다. 남자 단체전에서는 홍콩이 금메달, 말레이시아가 은메달을 획득했고, 인도와 파키스탄이 동메달을 차지하였다. 여자 단체전에서는 홍콩이 금메달, 인도가 은메달을 획득했고, 말레이시아와 일본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는 남자 단식, 여자 단식, 남자 단체, 여자 단체, 혼합 복식 경기가 진행될 예정이다.
2. 1. 1998년 방콕 아시안 게임
1998년 아시안 게임에서 스쿼시가 처음으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남자 단식에서는 파키스탄의 자라크 자한 칸이 암자드 칸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고, 홍콩의 압둘 파힘 칸과 말레이시아의 케네스 로우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여자 단식에서는 말레이시아의 니콜 데이비드가 홍콩의 레베카 치우를 이기고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싱가포르의 델라 리와 마 리 리안이 동메달을 땄다.2. 2.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2002년 아시안 게임은 대한민국 부산에서 개최되었다. 남자 단식에서는 말레이시아의 옹 벵 히가 금메달을, 파키스탄의 만수르 자만이 은메달을 획득했다. 말레이시아의 모흐드 아즐란 이스칸다르와 파키스탄의 샤히드 자만이 동메달을 차지했다. 여자 단식에서는 홍콩의 레베카 치우가 금메달, 말레이시아의 니콜 데이비드가 은메달을 획득했다. 말레이시아의 샤론 위와 대한민국의 이해경이 동메달을 획득했다.2. 3. 2006년 도하 아시안 게임
2006년 도하 아시안 게임 스쿼시 종목에서는 남자 단식과 여자 단식 경기가 개최되었다. 남자 단식에서는 말레이시아의 옹 벵 히가 금메달, 모흐드 아즐란 이스칸다르가 은메달을 획득했고, 인도의 사우라브 고샬과 파키스탄의 만수르 자만이 동메달을 차지했다. 여자 단식에서는 말레이시아의 니콜 데이비드가 금메달, 홍콩의 레베카 치우가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말레이시아의 샤론 위와 홍콩의 막 푸이 힌이 동메달을 차지했다.2. 4.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 스쿼시 종목에서는 남자 단식, 여자 단식, 남자 단체, 여자 단체 경기가 열렸다. 남자 단식에서는 모흐드 아즐란 이스칸다르ms가 금메달, 아미르 아틀라스 칸영어이 은메달을 땄으며, 사우라브 고샬영어과 옹 벵 히ms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여자 단식에서는 니콜 데이비드ms가 금메달, 오윙지중국어가 은메달을 획득했고, 류 웨이원ms과 천하오링중국어이 동메달을 땄다. 남자 단체전에서는 파키스탄이 금메달을, 홍콩이 은메달, 인도와 대한민국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여자 단체전에서는 홍콩이 금메달, 대한민국이 은메달, 인도와 대한민국이 동메달을 획득했다.2. 5.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
2014년 아시안 게임 스쿼시 경기는 대한민국 인천에서 개최되었다. 남자 단식에서는 쿠웨이트의 압둘라 알-무자옌이 금메달을 획득하였고, 인도의 사우라브 고샬이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동메달은 말레이시아의 옹벵히와 홍콩의 맥스 리에게 돌아갔다. 여자 단식에서는 말레이시아의 니콜 데이비드가 금메달을, 말레이시아의 류웨이원이 은메달을 차지했다. 인도의 디피카 팔리칼과 홍콩의 오윙지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남자 단체전에서는 인도가 금메달, 쿠웨이트가 은메달, 홍콩이 동메달을 획득했고, 여자 단체전에서는 말레이시아가 금메달, 인도가 은메달, 홍콩과 대한민국이 동메달을 차지했다.2. 6.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2018년 아시안 게임 스쿼시는 남자 단식, 여자 단식, 남자 단체, 여자 단체 세부 종목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남자 단식에서는 레오 오 (홍콩)가 맥스 리 (홍콩)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사우라브 고샬 (인도)과 모흐드 나피즈완 아드난 (말레이시아)이 동메달을 차지했다.
여자 단식에서는 니콜 데이비드 (말레이시아)가 시바상가리 수브라마니암 (말레이시아)을 이기고 금메달을 획득했고, 디피카 팔리칼 (인도)과 조쉬나 치납파 (인도)가 동메달을 땄다.
남자 단체전에서는 홍콩이 금메달, 인도가 은메달을 획득했고, 파키스탄이 동메달을 차지하였다.
여자 단체전에서는 홍콩이 금메달, 인도가 은메달을 획득했고, 일본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2. 7.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는 남자 단식, 여자 단식, 남자 단체, 여자 단체, 혼합 복식 경기가 진행될 예정이다.3. 경기 종목
종목 | 98 | 02 | 06 | 10 | 14 | 18 | 22 | 참가 횟수 |
---|---|---|---|---|---|---|---|---|
colspan=9| | ||||||||
남자 단식 | X | X | X | X | X | X | X | 7 |
남자 단체 | X | X | X | X | 4 | |||
여자 단식 | X | X | X | X | X | X | X | 7 |
여자 단체 | X | X | X | X | 4 | |||
혼합 복식 | X | 1 | ||||||
colspan=9| | ||||||||
합계 | 2 | 2 | 2 | 4 | 4 | 4 | 5 |
3. 1. 남자 단식
아시안 게임 스쿼시 남자 단식은 1998년 대회부터 시작되었다. 첫 대회인 1998년 방콕 아시안 게임에서는 파키스탄의 사르카 자한 칸이 금메달, 암자드 칸이 은메달을 획득했다. 홍콩의 압둘 파힘 칸과 말레이시아의 케네스 로가 동메달을 차지했다.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에서는 말레이시아의 옹 벵 히가 금메달을 획득했고, 파키스탄의 만수르 자만이 은메달을 획득했다. 말레이시아의 모함마드 아즐란 이스칸다르와 파키스탄의 사히드 자만이 동메달을 차지했다.
2006년 도하 아시안 게임에서도 옹 벵 히가 금메달을 획득하며 2연패를 달성했고, 말레이시아의 모함마드 아즐란 이스칸다르가 은메달을 획득했다. 인도의 사우라브 고살과 파키스탄의 만수르 자만이 동메달을 차지했다.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서는 모함마드 아즐란 이스칸다르가 금메달, 파키스탄의 칸 아미르 아틀라스가 은메달을 획득했다. 인도의 사우라브 고살과 말레이시아의 옹 벵 히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에서는 쿠웨이트의 압둘라 알 무자엔이 금메달, 인도의 사우라브 고살이 은메달을 획득했다. 홍콩의 맥스 리와 말레이시아의 옹 벵 히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2018년 자카르타 아시안 게임에서는 홍콩의 레오 오가 금메달, 맥스 리가 은메달을 획득했다. 인도의 사우라브 고살과 말레이시아의 모흐드 나피즈완 아드난이 동메달을 차지했다.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는 말레이시아의 응 에인 요우가 금메달, 인도의 사우라브 고살이 은메달을 획득했다.
3. 2. 남자 단체전
2010년 광저우 대회에서 파키스탄이 금메달을 획득하였고, 인도와 홍콩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4년 인천 대회에서는 인도가 금메달을, 쿠웨이트와 홍콩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8년 자카르타 대회에서는 홍콩이 금메달을 획득하였고, 인도와 파키스탄이 동메달을 획득했다.3. 3. 여자 단식
1998년 대회부터 여자 단식 종목이 시작되었다. 1998년 방콕 대회 결승전에서는 니콜 데이비드 (니콜 데이비드/Nicol Davidms)가 레베카 치우를 9-3, 9-1, 9-6으로 꺾고 우승했다. 2002년 부산 대회에서는 레베카 치우가 니콜 데이비드를 9–7, 9–5, 9–7로 이기고 금메달을 획득했다.2006년 도하 대회에서는 니콜 데이비드가 레베카 치우를 9–0, 9–3, 9–3으로 꺾고 다시 금메달을 차지했다. 2010년 광저우 대회에서는 니콜 데이비드가 오앤니를 11–8, 8–11, 11–6, 11–7로 이기고 우승했다. 2014년 인천 대회에서는 니콜 데이비드가 로 위 웨른을 9–11, 11–6, 11–5, 12–10으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8년 대회에서는 니콜 데이비드가 시바상가리 수브라마니암을 11–13, 11–9, 5–11, 11–6, 11–8로 이기고 금메달을 땄다. 2022년 대회에서는 시바상가리 수브라마니암이 찬 신 육을 8–11, 15–13, 10–12, 11–9, 12–10으로 이기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연도 | 개최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1998 | 방콕 | 니콜 데이비드 | 레베카 치우 | 델라 리 마 리 리안 |
2002 | 부산 | 레베카 치우 | 니콜 데이비드 | 샤론 위 이해경 |
2006 | 도하 | 니콜 데이비드 | 레베카 치우 | 샤론 위 막 푸이 힌 |
2010 | 광저우 | 니콜 데이비드 | 오윙지 | 찬호링 로 위 웨른 |
2014 | 인천 | 니콜 데이비드 | 로 위 웨른 | 오윙지 디피카 팔리칼 |
2018 | 자카르타 | 니콜 데이비드 | 시바상가리 수브라마니암 | 디피카 팔리칼 조쉬나 치납파 |
2022 | 항저우 | 시바상가리 수브라마니암 | 찬 신 육 | 호츠 로크 아이파 아즈만 |
3. 4. 여자 단체전
2010년 광저우 대회에서 홍콩이 금메달, 인도가 은메달, 대한민국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4년 인천 대회에서는 말레이시아가 금메달, 인도가 은메달, 홍콩과 대한민국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8년 자카르타 대회에서는 홍콩이 금메달, 인도가 은메달, 말레이시아와 일본이 동메달을 획득했다.3. 5. 혼합 복식
혼합 복식 경기는 2010년 광저우에서 처음 개최되었다. 2010년 대회에서는 와 가 각각 금메달과 은메달을 획득했고, 와 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한편, 2014년 인천 대회에서는 와 가 각각 금메달과 은메달을, 와 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4. 메달 집계
아시안 게임 스쿼시 종목의 국가별 메달 획득 현황이다.
5. 대한민국 선수 메달 현황
대회 | 금 | 은 | 동 | 합계 |
---|---|---|---|---|
1998 방콕 | 0 | |||
2002 부산 | 이해경/Lee Hai-Kyung영어 | 1 | ||
2006 도하 | 0 | |||
2010 광저우 | 박은옥 | 이진/Lee Jin영어, 김가혜/Kim Ga-hye영어, 박은옥, 송선미/Song Sun-mi영어 | 2 | |
2014 인천 | 양연수/Yang Yeon-Soo영어, 박은옥, 송선미/Song Sun-mi영어, 최유라/Choi Yu-Ra영어 | 1 | ||
2018 자카르타·팔렘방 | 양유라/Yura Yang영어, 김가혜/Kim Ga-hye영어, 엄화영, 안은찬/Ahn Eun-tschan영어 | 1 | ||
합계 | 0 | 1 | 4 | 5 |
대한민국은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여자 단식에서 이해경이 동메달을 획득하며 아시안 게임 스쿼시 종목 첫 메달을 기록했다.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서는 여자 단식의 박은옥과 여자 단체전에서 이진, 김가혜, 박은옥, 송선미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에서는 여자 단체전에서 양연수, 박은옥, 송선미, 최유라가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여자 단체전에서는 양유라, 김가혜, 엄화영, 안은찬이 동메달을 추가했다.
6. 참가국
국가 | 98 | 02 | 06 | 10 | 14 | 18 | 22 | 참가 횟수 |
---|---|---|---|---|---|---|---|---|
colspan=9| | ||||||||
2 | 1 | |||||||
2 | 2 | 6 | 8 | 4 | 2 | 6 | ||
4 | 4 | 4 | 8 | 8 | 8 | 8 | 7 | |
2 | 4 | 3 | 8 | 8 | 8 | 8 | 7 | |
8 | 1 | |||||||
2 | 5 | 2 | ||||||
1 | 1 | |||||||
3 | 3 | 2 | 6 | 6 | 6 | 6 | 7 | |
3 | 1 | 2 | 1 | 4 | 5 | |||
2 | 2 | 1 | 4 | 4 | 1 | 4 | 7 | |
3 | 1 | |||||||
4 | 3 | 3 | 4 | 4 | ||||
4 | 4 | 4 | 8 | 8 | 8 | 8 | 7 | |
4 | 5 | 2 | ||||||
4 | 6 | 2 | ||||||
2 | 2 | 2 | 7 | 8 | 8 | 8 | 7 | |
1 | 2 | 2 | 8 | 6 | 5 | |||
2 | 2 | 4 | 4 | 4 | 4 | 6 | ||
4 | 1 | |||||||
3 | 1 | 4 | 4 | 4 | ||||
2 | 4 | 4 | 8 | 8 | 8 | 8 | 7 | |
2 | 2 | 4 | 3 | 4 | 3 | 6 | ||
4 | 8 | 8 | 3 | |||||
colspan=9| | ||||||||
참가 국가 수 | 12 | 13 | 16 | 13 | 11 | 18 | 16 | |
선수 수 | 33 | 32 | 42 | 69 | 69 | 103 | 92 |
7. 역대 결승전 결과
연도 | 우승자 | 준우승자 | 점수 |
---|---|---|---|
1998 | 니콜 데이비드/Nicol Davidms | 레베카 치우 | 9–3, 9–1, 9–6 |
2002 | 레베카 치우 | 니콜 데이비드/Nicol Davidms | 9–7, 9–5, 9–7 |
2006 | 니콜 데이비드/Nicol Davidms | 레베카 치우 | 9–0, 9–3, 9–3 |
2010 | 니콜 데이비드/Nicol Davidms | 아우 윙 치 애니 | 11–8, 8–11, 11–6, 11–7 |
2014 | 니콜 데이비드/Nicol Davidms | 로 위 웨른 | 9–11, 11–6, 11–5, 12–10 |
2018 | 니콜 데이비드/Nicol Davidms | 시바상가리 수브라마니암/Sivasangari Subramaniamms | 11–13, 11–9, 5–11, 11–6, 11–8 |
2022 | 시바상가리 수브라마니암/Sivasangari Subramaniamms | 찬 신 육 | 8–11, 15–13, 10–12, 11–9, 12–10 |
2002년 부산에서 열린 2002년 아시안 게임에서는 대한민국의 이해경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연도 | 우승자 | 준우승자 | 점수 |
---|---|---|---|
1998 | 1–9, 9–0, 6–9, 9–7, 9–3 | ||
2002 | 9–0, 9–7, 9–0 | ||
2006 | 5–9, 9–1, 10–9, 9–5 | ||
2010 | 11–6, 11–7, 11–6 | ||
2014 | 10–12, 2–11, 14–12, 11–8, 11–9 | ||
2018 | 11-8, 12-10, 6-11, 11-4 | ||
2022 | 9–11, 11–9, 11–5, 11–7 |
7. 1. 남자 단식
연도 | 우승자 | 준우승자 | 점수 |
---|---|---|---|
1998 | 1–9, 9–0, 6–9, 9–7, 9–3 | ||
2002 | 9–0, 9–7, 9–0 | ||
2006 | 5–9, 9–1, 10–9, 9–5 | ||
2010 | 11–6, 11–7, 11–6 | ||
2014 | 10–12, 2–11, 14–12, 11–8, 11–9 | ||
2018 | 11-8, 12-10, 6-11, 11-4 | ||
2022 | 9–11, 11–9, 11–5, 11–7 |
7. 2. 여자 단식
연도 | 우승자 | 준우승자 | 점수 |
---|---|---|---|
1998 | 니콜 데이비드/Nicol Davidms | 레베카 치우 | 9–3, 9–1, 9–6 |
2002 | 레베카 치우 | 니콜 데이비드/Nicol Davidms | 9–7, 9–5, 9–7 |
2006 | 니콜 데이비드/Nicol Davidms | 레베카 치우 | 9–0, 9–3, 9–3 |
2010 | 니콜 데이비드/Nicol Davidms | 아우 윙 치 애니 | 11–8, 8–11, 11–6, 11–7 |
2014 | 니콜 데이비드/Nicol Davidms | 로 위 웨른 | 9–11, 11–6, 11–5, 12–10 |
2018 | 니콜 데이비드/Nicol Davidms | 시바상가리 수브라마니암/Sivasangari Subramaniamms | 11–13, 11–9, 5–11, 11–6, 11–8 |
2022 | 시바상가리 수브라마니암/Sivasangari Subramaniamms | 찬 신 육 | 8–11, 15–13, 10–12, 11–9, 12–10 |
2002년 부산에서 열린 2002년 아시안 게임에서는 대한민국의 이해경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